자유 게시판 = 전체보기

「 기고」 [ 시사 뉴스 불공정 방송 언론, 탈 진실 바로 세워야 ]

도전의 향기 2016. 11. 20. 11:18

    

                                                      

기고  뉴스 시사 방송 공정성 바로서야 사회가 발전한다    17.1.1   전우신문

                       부 제  " 공영 방송, 뉴스 시사 방송은 공정성으로 사회에 이바지 하라 "


                               기고 원고 내용   


    -- 책임 있고 헌신하는 정치인과 가짜 여론을 가려 내기 위해 시민이 깨어 있어야 한다.:

우리 사회 공동체에 비전은 있는 것인가?. 적지 않은 정치인들이 시국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정략적으로 이용하고 초법적 언행도 가리지 않고 있고, 이들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방송 언론의 태도도 함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자유에는 도의나 법적 책임도 따르는데 이를 무시하거나 초법적 언행은 일종의 파퓰리즘( 인기주의)의 추구라고 본다. 이는 칼 포퍼( karl Popper 영국 철학자)의 '열린사회와 그 적들' 에서 비평한 파시즘이나 전체주의 에서 볼수 있는 현상이다.


진실보다 감정이 각광받고 독선이 지배하는 탈 진실( post truth)과 가짜 뉴스가 지구촌에 횡횡하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도 예외는 아니다.  이리하여 언론이나 정무( 정치나 국가 행정 업무) 지도자들의 언행에 무거운 사회 정의 실천의 책임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선출 공직자의 경우 이들이 자신의 욕심이나 공명심(功名心)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아울러 아집과 구태에 머물러 있는 재선 이상의 일부 국회 의원들을 비롯하여 권좌만 처다 보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의회 지도자들을 국민이 걱정하는 주객이 바뀐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권력 야욕만으로 야누스 (Janus) 의 얼굴을 하면 지혜로운 국민들의 준엄한 심판이 따른다. 나아가 현재나 미래 권력과의 권언유착을 제거해야 함도 관과할 수 없다. 책임 있는 헌신적 정치인을 분별하는 것은 국민의 몫이므로 시민들은 늘 깨어 있어야 한다.


     --  스 시사 TV 방송언론의 불공정 대응에 지성인이 나설때다.--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지만 객관적 공정성을 지켜야 할 언론 중에 비중이 큰 TV 뉴스나 시사 방송언론의 공정성 파괴 문제는 심각하다. 집단기업 편중 경제나 제도적 모순에서 기인된 양극화 심화 등 '서민 경제와 삶'에대한 토론이나 심층 보도를 한번이라도 제대로 한 적이 있는가 묻는다. 

특히 TV 시사 뉴스의 객관적 공정성 파괴 문제는 편파 왜곡 선동의 주범으로 전락 되었다는 여론이다. 시청자들의 의견을 수렴할 장치가 필요한 데도, 시청자센타-고객센타-의견쓰기를 홈페지에 눈에 뛰게 구성한 시사 뉴스 TV 방송은, 현재 총 10개 체널 중 1곳 뿐이었다. 놀라운 것은 공영방송도 마찬가지였다.


경제와 생명-생태의 비중이 커지는 사회임에도 방송 언론들은 정치가 삶의 대부분인 양 열을 올린다. 어떤 뉴스 체널은 같은 내용을 매 시간 반복적으로 쏘아대고 있는데  뉴스의 가치도 없고 경제적 낭비다.  뉴스 시사는 대부분 정치판으로 시간을 채우고, 사실(fact)아닌 의혹 만들기'도 심각하다는 여론이다. 또 편향된 패널(Panel 출연자)과 취재팀을 등장시켜 대립되고 있는 상대의 입장이나 반론을 봉쇄하는 것은 파시즘적 행태라는 지적도 있다.


말없는 다수 국민의견의 대변이 필요한대도, 일방의 입장이나 소리만을 부각시킨다면 파쇼 집단과 다름 아니다. 방송과 언론매체에 경쟁적으로 파급 됨으로 인한 직 간접 피해는 모두 국민에게 돌아온다. . 방송의 공적 책임과 시청자 권익 보호 등이 방송법에 언급 되어 있으나 방송언론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TV 방송 언론의 보수 세력에 대한 비판은 진보 좌파 세력에 비하여 처절할 정도로 심한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좌파 세력의 목소리가 크기 때문 보다, 그 배경에 일부 방송 언론 노조 단체와 극좌 친북 세력들이 있다는 여론이 적지 않다.

이로인한 여론의 왜곡으로 국민 편가르기가 유발되어 양쪽의 대립 구도의 결과를 상상 해봐야 한다 .


일부 정치 세력의 초 법적 언행이나 선동에 의한 소요와 이적죄 유발 등의 범죄 혐의도 따져 봐야 하지만 사정기관의 칼날은 무딘 것 같다 . 일부 공권력과 사법 판사들도 좌파나 일부 보수 세력의 권력 패권주의 유혹에 휩쓸려 보신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면 이사회는 양분되고 만다. 


한때 중 고교 교실에서 한국 근대사를 왜곡 함으로서, 일부 세대에 쇠뇌-전파되어 세대간 갈등의 원인도 크다고 본다.  한반도 분단에 대한 정확한 역사와, 이후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를 체감하지 못한 세대의 한국 근세사에 대한 편견도 바로 잡아야할 것이다.  방송 언론은 자유 민주의 가치를 망각 하지 말고, 일부 극히 불순한 세력의 꼭두각시가 되지 말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중용 우위 정신과 함께 의회의 협치도 시사 방송 언론에 영향이 크다:


나라 형편은 북 핵에 의한 위기는 물론 양극화 심화, 집단기업 편중경제 문제 등 내우외환에 직면해 있다. 그럼에도 위기 극복의 시민정신과 저력을 살려야 한다.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 사회에 팽배해 있는 흑백논리와 속칭 냄비근성 이므로, 사회 공동체나 정치인은 물론 일부 시민들도 자기교정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위기 극복이나 심판이 필요할 때, 대중의 감정( emotion of masses)이 일정한 선을 넘어서면 이성을 잃고 강력한 야수로 돌변해, 정책 결정이나 확립된 법치를 붕괴시킨다. 회 정치인들부터 이른바 '도 아니면 모'를 선호하는 습성이나, 이른바 '제로섬게임'( Zerosum game-일방의 제로가 일방의 만점이 되는 이론 )의 패러다임을 극복 해야 할 것이다


말없는 국민에게 목소리를 내게 하는 것이 정치라고 하는 근래 미국 정치 지도자의 언행을 보면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주요 국가 대사에 다수 국민이 의견을 제시 할 수 있는''국정참여사이버서명제''( 별도 논제 참조) 도입도 제언 한다.  이로서 침묵하는 다수 국민은 방관자의 입장을 떠나 나라의 어두움과 혼란을 물리치는 행동하는 지성인이 되어야 한다. 




요컨대, 탈 진실 사회 정치와 공정성이 파괴된 가짜 방송 언론이 바로서야, 힘이 모여 국민 통합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의견 대립 시 중립(중용)적 입장을 매도하거나 폄하하는 관습을 버려야 하고, '중용 우위 정신(中庸 優位 精神)'을 기르는 것이 선진 사회로 가는 길이다. 이는 희망일 뿐인가 .2016.11

 

                                                                          ' 평화와 바른사회 ' 에서  

                                                                            挑泉        


                                                                                                      



일간지 관련 기사

'트럼프는 오만, 김정은은 노련'하다는 지상파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05/2019030500002.html



 명곡

조아람 바이올린 연주 공연    https://youtu.be/bRAjvni8ol8

                                                                                          


'돌아오라 소렌토로'-> https://youtu.be/FaO3fAD1kx4( 경음악 )  



                  ==  분권형 대통령제 대두와 국회의원 연임제한 == ( 추가 제언 )  


 --  유년기 옷이 청년기에 맞지 않듯이, 다수 국민이 요구하는 국가 권력 개편 소명을 시급히 수용 해야 한다. 

 --  직의 '뿌리 혁신' 차원에서 국회의원 2~3선 후 의무 휴식년-연임 제한 등 대다수 국민의 요구이다.



최근에 국가 권력 구조 개편이 대두되고 있다. 어느 칼럼 이야기대로 고장 난 배는 고치지 않고 선장만 바꾼다고 험한 바다를 항해 할 수는 없다는 것은 시의 적절한 화두다. 역대 대통령들의 면면을 보면 모두 권력형 비리와 부정으로 얼룩진 결과가 나타남으로서 국가 권력 개편이 시급히 필요하다는 국민 여론이 70 % 이상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 땅이 처한 형편상 국방과 외교의 신속한 대처가 필요함으로 '분권형 대통령제'( 이원집정부제)나 정-부통령 4년 중임제 대두는 필연적이다 .

대통령을 비롯한 헌재, 대법 판사와 같이, 차제에 공직의 '뿌리 혁신' 차원에서 국회 혁신 (( 2~3선 후 의무 휴식년-연임 제한 도입, 정체 권력의 음성적 비리 예방, 참신한 정치인 등원 유도 등을 위한 개혁 )) 도 대다수 국민의 요구이므로 혁신적 개편이 절실하다. ( 별도 논제 참조 : "국회의원 연임제한이 공직사회의 뿌리 " )


아울러  정국의 문제나 주요 국책에서 의회와 정부, 여야 간 필요이상의 대립은 시민 사회 공동체와 국민의 편가르기가 초래 됨으로 이의 예방책 도입을 고민 해봐야 한다.  정부와 의회 또는 강 정당간에 타협과 협치가 어려운 중대 사안의 경우, 의회나 정부 주체별 "국정참여 사이버 서명제" (별도 기고 참조 ) 실행을 적극 제언한다.


요컨대 모든 제도 개혁이 의회의 손에 주어진 만큼 적기에 임무를 수행 하라는 것은 지상의 과제이므로, 역시와 시대적 소명의 실천이 절실하다.  어느 일방의 승리는 곧 일방의 패배로 이어져 정치가 후퇴 한다. 타협과 협치로 모든 국민이 승리하는 길을 택해야 할 것이다.  이로서 국민적 에너지 낭비를 방지 하고 조용한 혁신을 이룸으로서, 지구촌에서의 국민의 명예도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